1. 엘라스틱서치의 데이터 저장 구조
엘라스틱서치는 http를 이용한 rest api를 지원하기 때문에 http프로토콜을 통해 CRUD작업이 가능하다.
rest api에서는 rdb의 crud와 다르다.
2. http통신 테스트를 위해 postman을 설치
https://www.postman.com/downloads/?utm_source=postman-home
Download Postman | Try Postman for Free
Try Postman for free! Join 17 million developers who rely on Postman, the collaboration platform for API development. Create better APIs—faster.
www.postman.com
3. 설치 후에 회원가입/로그인 한 뒤 http테스트를 위해 다음 경로를 따라간다.
4. 추가하기 create
작업을 위한 http포맷은 다음과 같다.
http://ip:port/index/type/id값
전송하면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받는다.
하나 더 추가
5. 수정하기 update
전에 입력했던 index/type/id에 덮어씌우면 된다.
post메서드에 id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id가 생성된다.
6. 조회하기 read
get메서드를 사용하여 조회합니다.
7. 삭제하기 delete
(db-index, table-type, row-document라고 했다.)
7-1. 도큐먼트 삭제하기
delete 메서드를 사용하여 삭제합니다.
삭제된 뒤에 조회했을 때는 아무 데이터도 찾지 못합니다.
7-2. 인덱스 삭제하기
출처 : https://myhappyman.tistory.com/218?category=966871
Elasticsearch - CRUD 진행해보기(조회, 삽입, 수정, 삭제)
데이터 제어하기 엘라스틱서치에 데이터를 넣고 조회해보기 전에 저장 구조를 먼저 파악해야합니다. 기존의 RDB와는 용어가 조금 다릅니다. 브라우저에서 http를 통해 확인한것 처럼 http프로토콜
myhappyman.tistory.com
'공부 > 엘라스틱서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엘라스틱서치] 결과정리 (0) | 2022.06.30 |
---|---|
[엘라스틱서치] 윈도우 엘라스틱서치 7.14.1 설치 (0) | 2021.09.16 |
[엘라스틱서치] 엘라스틱서치(elasticsearch), 로그스태시(logstash), 키바나(kibana), 비츠(beats) (0) | 2021.09.16 |